게임 개발 공부/Unreal Engine

머티리얼의 요소(Element) 추가

Vetenir 2025. 1. 23. 20:40

 

Static Mesh에 매핑된 Material을 추가해서 사물과 캐릭터를 표현하는 것이 보통의 경우입니다.

 

하지만 언리얼에서 개발자가 스태틱 메시에 적용된 머티리얼의 특정 부분을 다른 머티리얼로 수정하고 싶은 경우에

언리얼에서 요소를 추가하여 간단하게 수정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예시

해당 블럭은 한 개의 텍스처로 별도의 과정없이 머티리얼로 스태틱 메시에 적용한 것입니다.

정확히 윗면과 밑면만 다른 머티리얼을 추가하면 의도에 맞는 블럭이 나올 수 있는데

외부의 모델링 툴을 사용하자니 번거로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언리얼의 UV Editor로 수정해보려고 했는데 잘 모르겠어서

다른 방법을 찾았습니다.

 

 

방법

위의 예로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텍스처를 준비하는데 

우측의 텍스처와 같이 흐릿하게 나오면 

해당 텍스처를 우클릭 -> Sprite Actions -> Apply Paper2D Texture Settings.

 

그 후 스태틱 메시를 뷰포트에 놓고 각 텍스처를 마우스로 끌어서 놓아주면 간단하게 머티리얼이 생성됩니다.

 

이제 머티리얼의 준비가 끝났으니 스태틱 메시에 적용시켜보겠습니다.

모델링 모드 -> Attribs를 눌러주고

Edit Materials 클릭

Edit Materials를 클릭해 줍니다.

원하는 영역 드래그.

저는 블록의 옆면을 선택해 주었습니다.

Index [0]은 기본 바탕이 됩니다.

Index [1]이 선택된 영역입니다. 

위의 Materials에서 [1]을 선택하고

아래의 Material Eidts -> Assign Active Material 클릭.

잘 적용된 모습.
밑면은 아직 적용이 안 된 모습.

 

아래쪽도 추가해주기 위해 위에서 한 방법을 한 번 더 해줍니다.

 

밑면을 선택하고

밑면까지 머티리얼 추가

 

 

완료 이후 디테일 패널에서 각 영역의 머티리얼을 교체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에셋 출처

게임 마인크래프트의 에셋.

https://mcasset.cloud/

 

MC Assets - Browser for Minecraft Asset Files

MC Assets is a browser for Minecraft asset files. Explore all Textures, Sounds, Models, Fonts, Shaders, and more from any Minecraft version, without having to extract the files yourself

mcasset.cloud